Duration 16:32

[뉴스라이더] 가습기살균제 참사 12년폐암 피해 인정 사례 나올까 / YTN

974 watched
0
17
Published 31 Aug 2023

■ 진행 : 김대근 앵커 ■ 출연 :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[앵커] 2011년 8월 31일, 가습기 살균제 피해가 세상에 처음으로 알려진 이후 오늘이 딱 12년째 되는 날입니다. 그동안 가습기 살균제 관련 피해 질환에 폐암은 포함되지 않았는데, 최근 한 연구를 통해 살균제가 폐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습니다. 환경부도 상관성을 인정할지, 그리고 관련 피해자를 구제할지 다음 주 논의에 나서기로 했는데요. 관련 내용,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과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.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첫 피해 사례가 발생한 지 오늘로 12년째 되는 겁니다. 이후로 지금까지 접수된 피해자는 몇 명으로 파악하고 계신 겁니까? [최예용] 8000여 명에 이릅니다. 7800명이 넘는데요. 그런데 이 중에 사망자는 1300명이 넘습니다. 그런데 사실은 이 신고된 숫자는 전체 추정 규모의 1% 정도밖에 안 됩니다. 우리나라 사람 5명 중의 1명, 그러니까 1000만 명이 이 제품을 사용을 했고, 그중의 9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피해자로 조사되고 2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이 일은 이 제품이 처음 나타난 지 1994년부터 2011년 역학조사로 판매가 중단될 때까지 우리나라 국민들이 겪은 일입니다. [앵커] 그러면 그 피해 사례 중에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암 발병 의심 사례는 어느 정도로 보고 계신 겁니까? [최예용] 신고된 8000여 명 중에서 200명이 넘습니다. 물론 신고 안 된 피해 사례와 또 폐암 사례도 많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단 신고된 사람 중에서 200명이 넘으니까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폐암 발병의 거의 50배 가까이 높은 수치입니다. [앵커] 일반 국민들 중에서 폐암이 발병하는 경우, 이걸 비율로 따졌을 때 폐암 발병률에 비교해봤을 때 지금 피해 사례에 접수된 건수 중에 폐암 발병한 경우가 200명인데 이게 높다. [최예용] 그러니까 일반 인구 중에는 보통 10만 명당 따지는데요. 10만 명당 56명 되는데 지금 신고된 사람 중에 200명을 10만 명당으로 따지면 한 50배 가까이 높은 그런 발병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 [앵커] 그래서 상관성이 있지 않을까 이렇게 계속 의심을 해온 그런 상황이신데 2017년도에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됐습니다. 법적인 근거가 마련돼서 피해 질환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구제를 받게 되는데 어떤 질병들이 포함됐습니까? [최예용] 지금까지 가장 처음으로는 이 사건의 가장 큰 특징인 폐 손상입니다. 특정 물질이 호흡기로 들어가서 기관지를 통해서 폐에 직접 닿아있는 기관지에 염증을 일으키기 시작해서 폐 전체가 뿌옇게 되는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좀 더 지나서 폐가 딱딱해지는 섬유화 현상, 여기에 어떤 약을 써도 듣지 않습니다. 그러다가 바로 사망하는 그런 아주 특징적인 폐 손상이 초기에는 인정이 됐고요. 그 후에는 일반적인 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 비특이적이라고 표현하는 천식이라든지 비염이라든지 폐렴 같은 질환들도. 그러니까 우리 상기도와 하기도, 폐로 들어가는 관련된 질환들은 거의 다 인정 추세에 있습니다. [앵커] 그러면 그런 질환들 같은 경우에는 어떤 절차를 거쳐서 구제를 받게 되는 겁니까? [최예용] 일단은 피해자들이 먼저 호소를 하죠. 신고를 했으니까. 그러면 이런 질환이 많구나, 천식이 많네. 천식은 또 다른 원인으로... (중략) 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310900345719 ▶ 제보 하기 : https://mj.ytn.co.kr/mj/mj_write.php 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 ⓒ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

Category

Show more

Comments - 19